통신제어장치란? 

통신회선과 단말장치 사이에 연결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좋은 형식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 

 

통신접속기능 교환접속 제어 경로 설정 및 해지
  통신방식 제어 송신권 확보와 통신 방식의 제어 담당
  다중접속 제어  분기회선의 경우 종국에 주소 부여 기능
(ex 송수신 데이터 직병렬 변환)
  우회중계회선 설정 회선오류 발생시 우회 경로로 정보전송
정보전송기능 동기 제어  송수신측과의 일치를 위해 동기방식 제어
  오류 제어 비트 오류 등의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
  흐름 제어 중계장치에서 버퍼 초과지 및 흐름 제어
  응답 제어 수신 정보에 대한 확인 메시지 전송기능
  우선권 제어 우선권 정보에 대해 긴급으로 정보 전송

 

이동통통신 시스템 

1. 이동통신 시스템 

     1) 이동통신 개요

           언제 어디서나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통신수단 

           이동체 상호관 통신 수단 (ps 이동체 고정체 상호 통신도 포하)

     2) 이동통신의 진화 과정 

세대 종류 특징
1세대 AMPS, NMT  
2세대 IS-54  
3세대    
4세대    

     3) 셀룰러 이동통신 

           저출력 다수 기지국 통화권 제공

           주파수 재사용이 가능 : 간섭발생이 없는 다른 셀에서 다시 사용 가능 

            ※셀룰러 이동통신에서 기지국 서비스 영역 확대하는 방법 

                   - 고이득 지향성 안테나 사용

                   - 수신한계 레벨낮게 조정

                   - 다이버시티 수신기 사용 ※다이버시티: 페이딩 영향을 적게 받기 위함 

                   - 기지국의 안테나 높이증가시킴

                   - 저잡음 수신기를 사용

                   - 채널의 송신 출력을 증가

                   - 기지국 위치를 선정을 적절히 함 

                   - 중계기를 사용

                   - 지형에 맞는 안테나를 선정

     4) 다중접속 

     5) 이동통신 고려사항

 

2.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  

     1) 이동국

     2) 기지국

     2) 이동전화 교환국

     2) 기타장치 

 

3.이동통신 기술

     1) 대역 확산 통신

     2) 부호분할 다원접속 방식

     2) IS-95 채널 구조

     2) 차세대 통신기술 : 스마트 안테나, OFDM, 초광대역통신(UWB)

 

4.차세대 통신 서비스 

   유비쿼터스, 무선 LAN, Wi-Fi, 와이맥스, 와이브로, DMB, 텔레멕틱스, 홈네트워크, USN, UTM

개인적으로 무선통신기기 파트중에서 '무선 송수신기의 종류 및 구성'이 가장 어려운거 같다..

이유는 간단하게 뭐가 많당,...ㅋㅋㅋ 어서 무선 통신기기 끝내고 통신 기사 필기 합격하고 싶다.

 

무선통신기기 

무선 송수신기의 종류 및 구성 

1.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요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전자파에 실어서 방사하고 수신측에서 재현하는 것 

    무선통신기기 구성 : 송신기(transmitter), 수신기(recevier), 안테나(공중선, antenna), 급전선 등으로 구성 

2. 무선 송신기 

  발진부 : 원하는 주파수를 발생하는 부분, 주파수 안정도가 높은 (x-tal)을 이용

  완충 증폭기 (buffer amplifier): 부하 변동에 따른 주파수 변화를 방지하며 A급 증폭 방식 사용

  주파수 체배기(frequenct multiplier) :

      수정발진기로는 발진시킬 수 있는 주파수의 한계가 있음

      ※체배: 낮은 발진 주파수 발진기(LO)의 주파수를 정수배한 고조파 성분을 Filter을 이용하여 필요한 주파수를 얻음  

      c급 진폭기(고출력), 보통 입력주파수의 정수배인 주파수를 출력측에서 뽑아서 사용

      ☞ 수정발진자의 주파수보다 더 높은 주파수를 얻기 위함 

  여진 전력 증폭기(exciter) : 종단 출력단의 여진 전력을 만드는 증폭회로 (여진: 증폭기에서 필요한 전압)

  종단 전력 증폭기: 필요한 전력을 안테나에게 공급하는 증폭단

  변조기: 입력신호의 증폭과 함께 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한 부분 

 

   송신기가 갖추어야 하는 구비조건

      1) 주파수의 안정도가 높을 것 

      2) 전자파의 점유주파수 대역폭이 가능한 좁을 것 

      3) 불요파 방사가 적을것 

      4) 찌그럼짐 내부 잡음이 적을 것

------------------------정리-------------------------------------

 

3.무선 수신기

4.무선 수신기의 성능 

5.부속회로 

 

통신기사 필기에서 위성 통신 시스템은 흠... 항상 빠지지 않고 나온다

ㅠ.ㅠ 내가 정리하는건 통신기기사에 안나오는게 없다... 

 

부족한 부분은 다시 정리... _2

위성통신 기기의 종류 및 구성

  1. 위성통신 시스템

     1) 위성통신의 개요 

         위성을 발사하여 지구의 자전 방향으로 같은 주기로 회전하면서 장거리 통신 중계기역할 

          SHF 주파수를 이요하여 먼거리까지 통신   

     2) 위성통신의 방식의 종류 : 임의 위상, 위상위성, 정지위성

     3) 위성 통신 서비스 :

           고정위성 서비스: TV중계나 전화의 전송, INTELSAT(International Telecomm Satellite Organi-zation) 사용

           이동위성 서비스: 항공이동위성 서비스, 해상이동위성 서비스, 육상이동위성 서비스, INMARSAT

           방송위성 서비스: 위성을 방송국으로 해서 TV나 라디오 방송을 함, BS, TDF-1

           기타:

     4) 위성통신의 장단점 

           장점

                1) 여러지점에 대한 동시 정보 전송(point to multipoint)

                2) 회선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3) 다원 접속이 가능하다(TDMA)

           단점 

                1) 신호의 암호화 필요

                2) 전파 간섭 받기가 쉬움

                3) 사용할 수 있는 정지 궤도의 수가 제한적임 

 

※ 통신위성 3대구성요소 : 위성시스템, 지구국(육상), 채널                

     5) 통신위성 시스템의 기본 구성과 기능

                기본구성 : 페이로드 시스템 (위성의 임무 수행), 전력공급, 버스 서브 시스템(통신 및 자세제어)

                페이로드 시스템  : 위성의 임수 수행

                    - 트렌스폰더(transponder) : 상항링크(up)신호를 받아 증폭 및 주파수 변환하여 하향 링크 신호 만듦

                          구성:

                              - RF front end : 이득이 높은 저잡음 증푹기(LAN)을 사용

                              - 주파수 변환기, 전력 증폭기 

                    - 버스 서브 시스템 : 통신 및 자세 제어 할때 사용

                               - 전력계 : 위성에 전원 공급 , 전원 발생부, 전원 공급부로 구성

                               - 텔레메트리 명령계(TTC: Tracking Telemetry & Control)

                                      1) 위성 관제소로 부터 명령 신호를 수신

                                      2) 텔리메트리 데이터를 위상 관제소에 송신

                                          그 외에 자세제어, 위치제어, 빔 중심제어, 정상 기능 점검, 운용장비와 예비용 장비 등

                                          ※텔리메트리 : (데이터위성의 위치 자세 정보)

                                          ※자세제어: 위성의 궤도상의 제어

                                          ※열제어계: 위성각 부품의 열적 안정을 위한 장치 

                                          ※추진계: 위성 발사시 및 자세 변경시 궤도 위치 추진

                                          ※구체계: 각 기기들의 유지하는 기본 구조체 

                     위성 통신용 안테나 조건

                                 - 고이득, 저잡음, 예민한 지향성 안테나 

                                 - 광대역성

                                 - 가볍고 진동에 강하며 온도에 잘 견디는 재료를 사용해야 함

     6) 지구국 : 안테나계, 송수신계, 변복조계, 인터페이스계, 감시제어계, 전원계 구성

             안테나계 

                 위성으로부터 미약한 전파를 수신이 가능해야함 

                 고이득, 저잡음, 광대역, 예리한 지향 특성을 가져야 함 

                 정확한 구동제어와 추미기능을 가져야함 (※추미 : 안테나가 항상 통신위성을 행하도록 하는 장치)

                 종류 :

                    - 파라볼라 안테나 : 좁은 지역을 커버하는 스폿빔(spot beam) 형성 

                    - 카세그레인 안테나 : 2개의 반사판(주반사기, 부반사기)를 갖는 마이크로파 안테나

                                                 주반사신경과 부반사신경이 동일한 허초점을 갖고 반사시키므로 평행하게 반사

                    - 혼 안테나 : 넓은 지역을 커버하는 빔 형성

                    - 리플렉터 안테나 : 

                    - 어레이 안테나 :

                    - 롬빅 안테나 :

             송수신계

                     - 구성: 저잡음 증폭 장치(LAN : Low Noise Amplifier), 대전력 증폭 증폭장치(TWT: Travling Wave tube)                       - 다수의 중계기가 접근하는 경우에는 송신여파기와 채널 분파기가 필요

             변복조계

                    - 변복조계 : 아날로그는 주로 FM 방식 사용 최근에는 digital 변조에 의한 TDMA가 사용 

                    - 영상 신호의 전송은 주로 FM 방식이 이용이 되나 최근에는 digital 방식의 BPSK, QPSK를 주로사용

             인터페이스계

                    - 위성 링크와 지상 시스템 접속 부분

                    - 전화 단국, TV영상 단국, TV 음성 단국 등 

             감시제어계 

                    - 지구국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감시

                    - 회선 설정 제어 기능, 현용/ 예비 장치 전환 제어 기능, 원경 감시 제어 기능

 2. 범지구 위치 결정 시스템 (GPS)    

             3개 이상의 GPS 위성으로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위성과 수신기 위치를 결정

             GPS구성 : 우주부분(SS Space Segment), 제어 부분(CC: Control Segment), 사용자 부분(US: User Segment)

            GPS특징 

               - 장소, 기상에 관심 없이 24시간 위치 결정기능

               - 시계획도 관계없이 측량가능

               - GIS 데이터의 실시간 취득

               - 고도의 정확성 및 신속성 확보

               - 컴퓨터와 통신기기의 결합 : 다양한 응용 분야 창출       

 3.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직경이 작은 소형 안테나와 낮은 송신 출력 장비를 이용한 위성통신서비스 

 4. 디지털 멀티미디오 방송(DMB) 

           멀티미디어 방송의 목적으로 개발 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