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제어장치란? 

통신회선과 단말장치 사이에 연결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좋은 형식으로 바꾸어 주는 역할 

 

통신접속기능 교환접속 제어 경로 설정 및 해지
  통신방식 제어 송신권 확보와 통신 방식의 제어 담당
  다중접속 제어  분기회선의 경우 종국에 주소 부여 기능
(ex 송수신 데이터 직병렬 변환)
  우회중계회선 설정 회선오류 발생시 우회 경로로 정보전송
정보전송기능 동기 제어  송수신측과의 일치를 위해 동기방식 제어
  오류 제어 비트 오류 등의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
  흐름 제어 중계장치에서 버퍼 초과지 및 흐름 제어
  응답 제어 수신 정보에 대한 확인 메시지 전송기능
  우선권 제어 우선권 정보에 대해 긴급으로 정보 전송

 

정보통신 시스탬은 망이 주요 내용인데

망, 프로토콜, 관리가 주내용이라고 생각하면 쉬운거 같다.

 

 

'통신기사 > 정보통신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정보통신망 개요  (0) 2020.05.10

정보통신 시스탬은 망이 주요 내용인데

망, 프로토콜, 관리가 주내용이라고 생각하면 쉬운거 같다.

 

 

'통신기사 > 정보통신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정보통신망 개요  (0) 2020.05.10

디지털 변복조

1.변조의 정의

변조신호를 반송파에 실어 보내는 것

주파수 spectrum을 높은 쪽으로 옮기는 조작

푸리에 변환 및 급수

푸리에 급수 : 주기적인 신호 해석 -> 직류성분, cos성분, sin성분의 합으로 나타남

푸리에 해석 : 비주기적인 신호 해석 (스펙트럼 패석)->시간영역 함수를 주파수 영역에서의 스펙트럼으로 변환

 

2.변조의 종류

1.Analog 변조

AM, FM, PM

2.Digital 변조

ASK, FSK, PSK, QAM

3.Pulse 변조

PAM, PWM(PDM), PPM, PCM

3.변조를 하는 이유

1.송수신용 안테나 제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

2.FDM을 수행하기 위함

3.장거리 통신을 하기 위함

4.협대역 전송로를 이용해 광대역 신호를 전송하기 위함

5.S/N비 향상 및 시스템의 소형화

4.디지털 변복조

1.디지털 변복조 과정

1.원천코딩(Source Coding) : 압축 부호화

2.Channel coding : 에러를 찾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redundantbit를 추가

3.Digital 변조 : 원래 정보를 찾아내는 것

4.Channel decoding: redundantbit를 사용하여 착오 검출 및 정정 수행 =>에러제어

5.Source decoding : 신장 과정을 거쳐서 원래 신호로 북구

---------------------------------정리---------------------------------------------------------

     2.데이터 전송 방법

           1) 기저 대역 전송

              RZ (return to Zero) : 직류 성분없다.

              NRZ(Non Return to Zero) :직류 성분있다.

              바이폴라 펄스(AMI)

              맨체스터 펄스 

              차동 펄스 

              CMI 

              ※ 직류억압부호 : 직류 성분을 가지지 않는 전송부호

                     종류 ) 바이폴라 펄스, 맨체스터 펄스, CMI 부호

           2) 반송 대역 전송

3.정합 필터

4.디지털 변조의 종류

1.ASK :비동기

2.FSK :비동기

3.PSK :동기

4.QAM :동기

5.디지털 변조의 특성 비교

6.통신 속도와 채널 용량

1.변조속도

2.데이터 신호 속도

3.채널 용량(샤논 나이퀴즈)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