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통신할때는 전송은 필수다. 

이때 어떤측면에서 전송방법을 볼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다중화 방식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신호와 결합하여 하나의 물리적 회선을 통해 전송효율을 높이는 방식

종류 FDM, TDM, STDM(지능 다중화기), 광대역다중화기, 역다중화기

※지능 다중화기 

실제로 보낼 데이터가 있는 DTE에만 동적인 방식으로 각 부체널에 시간폭을 할당하는 방식 

지능다중화기를 '통계적 시분할 다중화기 or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기'라고도 한다.

   - 같은 시간에 더 많은 데이터 전송가능

   - 주소 제어, 메세지보관 제어, 오류 제어등이 포함 

   - 가격이 비싸고 초반에 세팅 시간이 길다.

 

집중화기(Concentrator)

하나의 고속 통신회선저속통신회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송장비 

입력수는 출력수보다 많거나 적다

구성: 단일 회선 제어기, 중앙처리장치(CPU), 다수 선로 제어기 등으로 구성 

 

다중화 장비 집중화 장비

- 선소를 정적으로 이용
※정적 : 단순히 여러 개의 신호를 묶는다 라는 의미

- 구성이 간단함

- 부체널이 필요가 없음 

- 전송효율은 떨어짐
- 직렬로 전송하는 장치
- 회선사용에 있어 경제적 ☞ 통신회선의 유지보구수 용이 

- 선소를 동적으로 이용

- 구성이 복잡함

- 부체널이 필요함 

- 전송효율이 높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