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 기기는 다양한 통신기기를 배운다면
정보전송공학 과목은 통신할때 필요한 지식들이 적혀 있다.
이 차이점을 알고 통신기사를 공부하시면 조금더 수월할꺼같다.
PCM
1.표본화의 정리
1. Nyquist 표본화의 주기
2.표본화 종류 : 순시 표본화, 평탄 표본화, 자연 표본화
3.표본화 오차: 절단 오차, 엘리어싱, 반올림 오차
2.PCM(Pulse Code Modulation)
pcm의 과정
1.LPF(저역통과필터) : 엘리어싱 방지
2.표본화 : PAM신호(순시진폭값) 얻음, 2배로 표본화를 해야함
3.양자화 : 이상적인 값 변환 /
양자화 step,
양자화 잡음 : 이상적인 값을 대응할때 생기는 잡음
양자화 잡음 전력
신호 전력대 양자화 잡음 전력비 : S/N= 6*n +2.0[dB] (※ 비트수1을 증가할때마다 S/N비는 6[dB]증가)
4.Compading : 신호의 대소와 상관없이 일정한 S/N비를 얻을 수 있음
u, A 법칙
5.부호화 : 0,1의 조합으로 변환 작업
------------------------------------전송채널----------------------------------------------------
6.재생 중계기 : 전송 도중 발생되는 감쇠, 위상천이, 누화, 잡음 등의 왜곡 없는 신호로 재생하기 위함
3R : Reshaping(파형재생) : s/n비 개선부호 파형으로 재생, 등화기 증폭기
Regeneration(식별재생) : 식별회로(0,1식별), 펄스 재생회로
Retiming(위상재생)
------------------------------------전송채널----------------------------------------------------
7.복호화 : 신호를 복원
※장단점
단점: 점유 수파수가 넓어짐, 지터 발생
3.PCM/TDM => 다중화하기 위함 : 다중화 : 디지털 신호를 하나의 채널로 전송하는 것 종류) FDM,CDM,CDM
1.FDM, TDM 비교
2.PCM/TDM-24 : 북미 24*8 +1(동기용)
3.PCM/TDM-32 : 영국
※한 채널 : 8bit/ 프레임 : 32*8(PCM/TDM-32) 24*8 +1(PCM/TDM-24)
4.신호방식 : 아날로그에서의 프로토컬이라고 생각하면 됨
전화망에서 전화기와 교환기, 교환기와 교환기 간 설정, 유지보수, 복구, 과금 등을 위한 절차
전화기-교환기 : 가입자선 신호방식
교환기-교환기 : 국간 중계선 신호방식
- 통화로 신호방식 : 통화회선 이용
- 공통선 신호방식: 통화회선 신호회선 분리, 시분할다중화
No6. : 아날로근 통신시스템
No7. : 디지털 통신시스템
특징 : 64kb/s속도로 전송이 가능
디지털 교환망에 적합
최대 메시지 길이 273byte
신호 유닛의 길이는 가변
회선별 라우팅을 함
MTP,SCCP,ISP,TCAP,ASE로 구성(모듈형 계층구조)
1) NAS 방식 4*7*6
2) CEPT 방식 : 4*4*4*4
3) 한국 : 3*7*3*4
4) ITU-T : 4*5*3*4
5.PCM에서의 ISI 측정
상호 부호 간 간섭 ISI(Inter Symbol Interference)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 눈 패턴(eye pattem)이용
------------------------------------압축기법----------------------------------------------------
4.DPCM(Differential PCM)
차동 PCM 이라고함
순시 진폭값, 예측값의 차이만 양자화 ☞ 양자화 step수를 줄이고, 정보량 줄임
5.DM(Delta Modulation)
델타 변조라고 함
DPCM과 비슷하게 순시 진폭값, 예측값만 1bit 양자화 ☞ 정보량을 대폭 줄임
6.ADPCM
적응형 양자화기 + 적응형 예측기 적용
※적응형 예측기 : 순간 적응 방식, 블록 적응방식
7.ADM
DM+적응형 양자화기 : 종류(CFDM, CVSDM, HCDM)
8.동기식 디지털 다중화 계위(SDH)
9.SONET(Sychronous Optical Network)
※펄스변조
PAM( Pulse Amplitude Modulation) : 펄스 진폭 변조
PPM (Pulse Position Modulation) : 펄스 위치 변조
PDM (Pulse Duration Modulation) : 펄스 폭 변조
PCM (Pulse Code Modulation) : 펄스 부호 변조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통신기사 > 정보전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디지털 변복조 - 변조, 디지털 변복조 (0) | 2020.05.09 |
---|---|
[정리] 전송제어 - TCP/IP (0) | 2020.05.08 |
[정리]디지털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전송, 전송로 불완전성 에러 발생 요인, 정보이론 (0) | 2020.05.07 |
[정리] 전송매체 - 동축케이블,광섬유, 케이블, 지상마이크로파, 이동통신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