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송제어
1.프로토콜
프로토콜의 기능
1.데이터의 분할 및 조립
2.캡슐화 및 비캡슐화
3.Framing
4.연결 제어 : 연결서비스, 비연결 서비스
5.흐름 제어 : 수신측에서 데이터의 양과 속도를 조절 하는 것
6.전송 제어 : 입출력장치, 회선제어, 동기제어, 착오제어
7.전달 순서 제어, 순서바로잡기
8.다중화 : 동시에 같이 보냄
9.라우딩(종류 : RIP길이, OSPF: 전송 품질)
10.주소부여
※프로토콜 기본요소 : 구문 의미 순서
2.OSI 7계층
Layer1 : RS-232C(25pin), RS-449(37pin), IEEE488, IUT-T V.21
Layer2 : BDLC SDLC HDLC UDLC ADCCP CDCCP DDCMP LAP-B BOLD LLC MAC
Layer3 : ITU-T의 x.25packet level 프로토콜
Layer4
Layer5
Layer6
Layer7
3.전송제어 프로토콜
문자방식 protocal
비트방식 protocal : flag(01111110), flag/주소부/제어부/정보부/FCS/flag
제어부: I(정보 전송 형식),
S(감시 형식): Iframe의 수신확인, 재송요구(REG,SREG), 일시중단(RNR)/ 정보부x
U(비번호제): 링크의 초기설정, 데이터 링크 확립과 절단 데이터 전송 동작 모드 설정 요구 응답/ sequence 번호를 이용하지 않고 정보부를 나타냄
데이터 전송 동작 모드: 동작모드, 절단모드, 초기모드 / 가능한 상태 동작 모드(NRM,ARM,ABM)
BASIC 와 HDLC 프로토콜
BASIC
문자 방식 프로토콜/반이중/point-to-point, multipoint/stop-and-wait ARQ
HDLC
비트 방식/다가능/다가능/go-back-N,selective ->비트스터핑(제로삽입기술 : 데이터의 투명성 보장)
-----------------------------------------------------------------------------------------------------
4.TCP/IP
1.TCP/IP 프로토콜
1.Network interface 계층: MAC주소
2.Internet 계층 : IP 주소, ARP, ICMP,
라우팅(EGP(Exterior Gateway Protocal)(BGP), IGP(RIP, OSPF))
EGP 자율 시스템간(AS)에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 IGP AS내에 사용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자율 시스템(AS Autonomous System)
인터넷 상에서 자율시스템이라고 함은 관리적인 측면에서 한 단체에 속하여 관리되고 제어 됨으로써,
동일한 라우팅 정책을 사용하는 네트워크 또는 네트워크 그룹을 의미함
3.Transport 계층 : Port 주소, TCP, UDP
4.Application 계층 : FTP(File Transfer Protocal), Telent, DNS(Domain Name Service), SMTP
2.IPv4 IPv6
IPv4 : 32bit -> class 도입
IPv6 : 128 bit -> 유니케스트(개인사용자), 애니케스트(기업), 멀티케스트(ISP용)
서브네팅 : 네트워크 id를 많게 하기 위함
CIDR : 호스트 id를 많게 하기 위함
※클래스 A-0 /B- 10/C- 110/D -1110
3.IP 주소 개념과 IPv4/IPv6
IP주소의 관리와 할당은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에서 담당
4.ARP와 RARP
ARP(Address Resolution Protocal) IP->MAC
RARP(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al) MAC->IP
5.TCP/UDP
TCP: 연결형, 신뢰성 서비스, 흐름제어(SWFC sliding window flow control)/ 오류제어: 검사합, 확인응답, 시간 종료
UDP: 비연결형
TCP | UDP |
- 연결형 - 신뢰성 서비스 - 흐름 제어(SWFC) 제공 - 오류제어 : 검사합, 확인응답, 시간 종료 - TCP 접속 종단에 일정크기의 버퍼가 있어서 ☞ 흐름제어, 혼잡제어 수행 slow-start 알고리즘 - 혼잡제어를 회피하기 위해 혼잡 윈도우의 크기를 점자 증가 - 인증을 위해 3way handshaking 방법 사용 |
- 비연결형 - 데이터 그램 서비스 사용 |
------------------------------------------------------------------------------------
6.TCP/IP 어플리케이션 층 protocal
Telnet : 원격지의 컴퓨터를 온라인으로 연결하여 사용
FTP : 파일전송 tcp를 이용하여 신뢰성 있게 파일을 전송
SMTP : 전자 매일
DNS : 도메인 주소
5.착오 제어(에러 제어)
6.Mobile IP
'통신기사 > 정보전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디지털 변복조 - 변조, 디지털 변복조 (0) | 2020.05.09 |
---|---|
[정리]디지털 데이터 전송 - 데이터 전송, 전송로 불완전성 에러 발생 요인, 정보이론 (0) | 2020.05.07 |
[정리] 전송매체 - 동축케이블,광섬유, 케이블, 지상마이크로파, 이동통신 (0) | 2020.05.07 |
[정리]PCM - PCM, 표본화,양자화, Compading, 재생 중계기,복호화, 압축기법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