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데이터 전송
1.데이터 전송
1.회선의 구성 형태 : 2지점간 통신, 멀티포인트 통신, loop 통신, 교환방식
2.전송 방법에 따른 분류 : 직렬, 병렬
직렬 | 병렬 |
- 속도가 느림 - 비용이 저렴 - 장거리 전송 - 원거리 전송에 사용 - 직병렬 회로(UART)가 필요 - 대부분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사용 - 순차적으로 전송하므로 동기과정이 필요 |
- 속도 빠름 - 고비용 - 단거리 전송 사용 - 직병렬 회로(UART) 필요 없음 - 추가적인 타이밍선이 필요 - strobe 와 busy 신호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 (송수신 문자들 간의 간격 식별) |
3.전송 방향에 따른 분류 : 단방향, 양방향
4.동기 방법에 따른 분류 : 비동기, 동기 , 혼합형 동기식
2.데이터 전송 방식
3.디지털 통신망의 동기 방식
4.전송량의 단위
5.전송로의 불완전성과 전송 에러 발생 요인
1.전송로의 불완전성
1)정정적인 불완전성
- 시스템의 특성에 의해 발생
- 상쇄 및 보상이 가능하다
- 종류 :
진폭 감쇠 왜곡,
지연 왜곡,
특성 왜곡(ISI)
하모닉 왜곡, : 신호의 진폭에 따라 신호의 감쇄가 달라지는 것
손실,
주파수 편이 : 전송채널에 보내는 신호의 주파수가 바뀌는 것
2)동적인 불완전성
- 우연적인 왜곡으로 무작위적으로 발생하여 예측할 수 없는 왜곡
- 제어하기가 어렵다
- 종류:
백색잡음
충격성 잡음
상호 변조 잡음
페이딩 : 신호 전파의 도달 거리 차에 의해 수신 전계강도가 시간적으로 변동하는 현상
-> 다이버시티 방식을 사용하여 방지
에코
진폭 및 위상의 변화
위상 지터
선로의 일시장 고장
혼선
※연속적인 위상의 변화 : 위성 지터 / 불연속적인 위상의 변화: 위상 히트
2.전송 특성 열화 요인
3.누화(cross talk)
- 서로 다른 신호가 정전결합(부유용량 통한 결함), 전자결합(상호 인덕턴스를 통한 결합)에 의해
신호에 영향을 주는것
- 누화 단위 : CTU dB=120-20logCTU
- 누화 경감법 : 케이블 구조에 의한 방법, 시험 접속, 누화 보상, 프로징, 사치, 반전, 두방향 분리
4.상호 변조 왜곡
- 서로 다른 주파수들이 똑같은 전송 매체를 공유하거나
전송 매체 또는 송수신 장치가 비선형 특성을 갖게 되면
입력 신호 주파수 성분들이 서로 가감되어 다른 채널의 대역에 속하는 주파수 성분을 만들어 내
그 주파수 잡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
- 상호변조 방지 대책
전송 매체 또는 송수신 장치를 선형영역에서 동작시킨다
전송 시스템에 TDM 방식을 적용한다
필터를 이용하여 통과 대역 밖의 신호를 잘라 낸다.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대상으로 설계된 전송회선에서 디지털 데이터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회선의 비율 제한
5.감쇄 왜곡
6.지연 왜곡
---------------------------------------------------------정리 ---------------------------------------------------------
6.정보이론
'통신기사 > 정보전송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리] 디지털 변복조 - 변조, 디지털 변복조 (0) | 2020.05.09 |
---|---|
[정리] 전송제어 - TCP/IP (0) | 2020.05.08 |
[정리] 전송매체 - 동축케이블,광섬유, 케이블, 지상마이크로파, 이동통신 (0) | 2020.05.07 |
[정리]PCM - PCM, 표본화,양자화, Compading, 재생 중계기,복호화, 압축기법 (0) | 2020.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