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nsorflow.blog/%ed%8c%8c%ec%9d%b4%ec%8d%ac-%eb%a8%b8%ec%8b%a0%eb%9f%ac%eb%8b%9d/1-%ec%86%8c%ea%b0%9c/#1.1

 

1 소개

 이 책에 대하여 | 목차 | 1.2 왜 파이썬인가?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데이터에서 지식을 추출하는 작업입니다. 머신러닝은 통계학, 인공지능 그리고 컴퓨터 과학이 얽혀 있는 연구 분야이며 �

tensorflow.blog

ai> 머신러닝(지도학습 : 이것만해 ) > 딥러닝(이거 해볼래)

[설치순서]

1. 파이참 

2. 아나콘나 

www.anaconda.com/products/individual#download-section

 

아나콘다 

conda list 

아나콘다: 미리업데이트 : conda update -all  : import 같은 에러가 없게하기 위해서 

  1) conda update --all 

  2) open > user : 파일 경로

  3) pip install scikit-learn   : 데이터가  존재함  : 라이브러리 

  4) pip install mglearn

 

 

가상환경이 필요한 이유 

1)각각의 다른 환경에 돌릴수가 있다. 

 

numpy, 등등을 설치 할때 

settting > phthon interpreter > + 기호 누른후 들어가서 설치하면된다. 

나는 이걸몰라서 하루는 그냥 버렸다. 

여러분들은 그러지 않길 바랍니다. 

 

 

개발을 하면서 전혀 warring이 일어날 곳이 아닌데 

PEP 8이라고 하면서 뭔가 뜬다면 여기 아래를 참고 하면 좋겠다. 

spoqa.github.io/2012/08/03/about-python-coding-convention.htmlsetting > project: Machine_learing >

참 파이썬 생각보다 디테일 해서 좋다 (남의 코드를 보면 보기 좋을꺼 같당)

 

 

 

용어 

붗꽃의 종류 클래스 

분류 : 붗꽃의 종류 

특정 데이터 포인트 : 레이블 

 

 

머신러닝 

지도학습 : 프로세스가 자동화를 결정하는 방식 

머신 러닝에 파이썬을 사용하는이유? 

- 주피터 노트북같은 도구로 대화하듯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다라는 점 

- 오픈소스(사이킷런) : 파이썬 머신러닝 파이브러리 

     아나콘나에 포함=> 사이킷런 사용하기 위해서는 맷플롯립(그래프 표현), 아파이썬(대화식 개발)

    scikit -learn : Numpy, Scipy, Pandas, matplotilb 

 

SciPy

과학 계산용 함수를 모아놓은 파이썬 패키치

- 고성능 선형대구 , 함수 최적화, 신호처리, 특수한 수학 함수와 통계 분포 등을 포함하는 기능 

- scipy.sparse 

- 회소행렬, 희박 행렬 

 

운영체제의 정의 

멀티태스킹 - 여러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 

OLE(object linking and Embeding ) : 여러 응용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문자나 그림등의 개체를 현재 작성 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하거나 삽입하여 편집 할수 있는 기능 

 

UNIX의 개요 및 특징 

- 통신망 관리용 운영체제로 적합하다 

- 트리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

 

 

기억장치의 관리 전략 개요 

: 보조기억 장치를 -> 주기억장치에 데이터를 적재 시키는 방법 

: 반입, 배치, 교체 전략 

 

반입 전략 

: 보관중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언제 적재시킬 것인가?

1) 요구 반입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다른 특정 프로그램을 요구 할 때 적재 

2) 예상 반입 : 실행 중인 프로그램에서 참조 될 것을 미리 예상 

 

배치 전략 

반입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억장치 어디에 위치를 시킬 것인가?

1) 최초 적합 : 빈영역중에서 첫번째 분할 영역에 배치 

2) 최적 적합 : 단편화가 가장 적게 남는 부분

3) 최악 적합 : 가장 큰 부분 

 

교체 전략 

주기억장치의 모든 영역이 사용중일 때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주기 억장치에 배치 할 떼 

어떤 영역을 교체해서 사용을 할 것인가?

1) FIFPO

2) OPT

3) LRU

4) LFU

5) NUR

6) SCR

 

가상기억장치의 개요 

페이징 기법 

: 주기억장치 여역을 동일한 크기로 나눈후 페이지 프레임을 적재시켜 실행하는 기법 

-> 페이지 : 프로그램을 일정 크기 단위 나눈것

-> 페이지 테이블 : 페이지 위치 정보

-> 페이지크기가 클경우  작을 경우를 고려해야함

 

세그먼트 기법

: 프로그램을 다양한 크기의 논리적 단위로 나눈후 주기억장치에 적재 시켜 실행시키는 방법 

 

페이지 알고리즘 

FIFO

LRU(least Recently used) : 가장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는 페이지 교체 / count 나 stack 을 두어 

LFU(least Frequently used) : 빈도가 높은거 

NUR(Not Used Recently) : 참조 비트, 변형 비트 (우선순위 참조비트> 변형비트)

SCR(Second Chance Replacement 2차 기회 교체 )

 

워킹셋 

: 프로세스가 일정 시간 동안 자주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 

 

프레이징 

: 처음에 과도한 페이지 부재를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 같은 모든 페이지를 한번에 적재하는 기법 

 

스레싱 

: 처리 시간 보다 페이지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많아지는 현상 

 

프로세스

: 일반저긍로 프로세서에 의해 처리 되는 사용자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

즉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의미

프로시져 :프로세스를 나눈 것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생성됭 실행될 떼 필요한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해당 프로세스에게 할당 하는 작업

장기 스케줄링 : 어떤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자원을 차지할 수 있도록 할 것인가? => 작업 스케줄링, 상위 스케줄링 

중기 스케줄링 : 어떤 프로세스들이 cpu를 할당 받을 것인지 결정 

단기 스케줄링 : 프로세스가 실행되기 위해서 cpu를 할당을 받는 시기와 특정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작업

 

스케줄링 목적

: 프로세스 할당 방법 

비선점 : FCFS SJF 우선순위 HRN 기한부

선점 : RR, SRT, 선점 우선순위, 다단계 큐, 다단계 피드백 큐 

 

ip

총 32bit로 구성이되어 있음 

 

ipv6

총 128bit

유멀애 

유니캐스트 1:1 통신

멀티캐스트 1:n 통신

애니캐스트

 

osi 데이터 단위 

비트(리피터/허브, 기계적 전기적 기능적 절차적 )

- 프레임 (신뢰성과 효율적인 정보를 위함 / 송수신의 속도차이를 위해 흐름제어, 오류제어/ 랜카드 브리지 스위치 )

- 패킷(라우터/ 경로설정 데이터 교화 및 중걔 트래픽 제어 패킷 정보 전송을 수행)

- 세그먼트(시스템 종단 시스템 간에 투명성 전송가능 Tcp udp 주소설정 다중화 오류 제어 흐름제어 )

대화제어 

암호와  데이터 압축 구문 검색 정보 형식 문맥관리 

- 메시지 

 

 

프로토콜 

구문 

의미 

시간 

 

프로토콜의 기능 

단편화와 재결합

캡슐화 

흐름제어 

오류 제어 

동기화 

순서제어 

주소 지정

다중화 : 한개의 통신회선에 여러 가입자들이 동시에 이용

경로 제어 : 최적 경로

전송 서비스 

 

 

개인적으로 너무 안외워지는거 :dooorki.tistory.com/8

수푸핑 (spoof : 패러디하다 도용하다  : 정상적인 것을 다른 것으로 바꿔치기 하다 )

스니핑 (Sniff : 코를 킁킁거리다 도청을 하다 )

스누핑 

스미싱(SNS + Phishing 합성어) 

피싱 (Private Data Fishing )

파밍

멀웨어

 

 

네트워크 침해 공격 관련 용어

스미싱 (Smishing) :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정보를 빼내는 수법 

스피어 피싱 (Spear Phishing) :

이메일로 위장한 메일을 지속적으로 발송하여 -> 링크, 첨부파일로 인하여  개인정보 탈취

APT(Advanced Persistent Threates, 지능형 지속위협)

큐싱

SQL 삽입공격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트 

 

 

정보보안 침해 공격 관련 용어

봇넷(Botnet) 악성 프로그램에 감염되어 악의적인 의도로 사용될 수 있는 다수의 컴퓨터들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형태

제로 데이 공격 : 보안의 취약점을 발견되었을때 취약점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해당취약점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보완 공격  => 보완의 신속성 

트로이 목마 :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위장을 하여 프로그램 내에 숨어 있다가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할때 활성화 되어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자기 복제 능력은 없다. 

 

 

인증 

인증의 주요 유형 

- 지식 기반 인증 :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기반 ex) password, passphrase, i-pin

- 소유 기반 인증 :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인증 ex) 신분증, 메모리 카드(토큰), 스마트 카드 , OTP

- 생체 기반 인증 : 생체 정보 ex) 지문, 홍채/망막, 얼굴, 음성, 정맥

- 위치 기반 인증 : 

 

보안 아키텍쳐 

: 정보 시스템의 물결성 가용성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보안 요소 및 보안 체계를 식별하고 이들간의 관계를 정의한 구조를 말한다. 

 

보안솔루션 

: 접근 통제, 침입 차단 및 탐지 등을 수행하여 외부로부터 불법적인 침입을 막는 기술 및 시스템 

: 주요 보안 솔루션에는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IDS), 칩입 방지 시스템(IPS), 데이터 유출 방지(DLP) 웹 방화벽 VPAN, 

NAC 등이 존재한다 

 

칩입 방지 시스템 =방화벽 + 침입 탐지 시스템 

 NAC :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내부 Pc  dml  MAC  주소를 IP  관리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일관된 보완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보안 솔루션 

 

EMS(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다양한 장비에서 발생하는 로그 및 보안 이벤트를 통합하여 관리하는 보완 솔루션 

 

 

c언어 공부를 하면서 python으로 소스를 같이 작성해서 올리려고 함.

 

Ms- window.h  

표준 C 모든 플랫폼에서 작동가능한 c언어

 

gcc-o [실행파일이름] [소스파일이름]

./실행파일이름 

 

 

 

 

 

 

 

+ Recent posts